본문 바로가기

Nursing

[펌]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동맥혈가스분석검사)[일반응급검사]

폐 내의 환기능력 평가위한 객과적 지표
* 참고
- VBGA : 정맥혈로 동맥혈보다 pH는 더 낮고 PCO2는 더 높고, PO2는 더 낮음
- 채혈 후 시간이 지나면 혈중 백혈구의 대사로 pH는 낮아지고 PaCO2는 높아지고 PaO2는 낮아짐
(10분이내 검사완료, or 4'C에 식혀서 보관, 이송 : but, 시간 지연이 1시간을 넘으면 곤란)
- 동맥경화증 환자에서 대퇴동맥 사용은 측부순환이 없어 문제발생시 대처가 어려움
(천자과정에서 동맥경화성 혈전이 발생하여 원위부에로 embolism되어 하지를 못쓰게 되는 경우도 있음
또한 천자 후 출혈지속 시 발견이 어려움)
- 주사기의 공기방을 : 공기의 PCO2는 0mmHg, PO2는 약 150mmHg로 동맥혈이 공기에 노출시 PaCO2는 낮아지고 그에 따라 pH는 높아짐
- PaO2는 실제 150mmHg보다 낮은 경우 높아지고, 150mmHg보다 높은 경우 낮아지는 문제 발생하므로 채혈시 공기방울 유입시 즉시 제거
- 헤파린의 pH는 약 7.0, PCO2는 0mmHg, PO2는 약 150mmHg로 실제결과와 다를 수 있음(주사기의 사강만 채우자)
 
1. pH (7.35~7.45) 7.35이하 산증, 7.45이상 알칼리증
증가 : Hyperpnea, Fever, Vomiting, intestinal obstruction

감소 : Uremia, Nephritis, Diabetic acidosis

 

2. PCO₂(35~45mmHg) 혈액내 탄산가스 분압, 폐에서 조절

증가 : Respiratory acidosis(폐에서 제거되지 못한 CO2, 폐의 가스교환 능력 상실) 

감소 : Respiratory alkalosis(CO2의 과잉 상실, 과호흡) 

 

3. PO2(80~100mmHg) 혈액내 산소농도

감소 : 폐기능 손상, 심박출량 감소(60세 이상 80이하도 Ok)

 

4. HCO3-(22~26mEq/L) 탄산이온, 산염기 균형에서 대사성 요소(신장에 의해 조절)의미

증가 : Metabolic alkalosis, 호흡성 산혈증의 보상작용시

감소 : Metabolic acidosis

 

5. O2 Sat (95~100%) 산소에 포화된 Hb의미

증가 : 다혈구증(적혈구증가증), 무수분혈증

감소 : Anemia, 심기능대상부전, COPD

 

6. Base excess (+20~2mEq/L) 정상상태의 혈청 중탄산염 농도와 대상자의 중탄산염 농도간의 차이

비호흡성 산염기장애

증가 :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많음

감소 :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적음

 

ABGA 해석! (출처 : http://blog.naver.com/mogulkor)

* pH, pCO2, HCO3-(or BE) 세가지만 보면 된다!!

 

1. pH, pCO2, HCO3- 모두 상승 or 감소시 :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or Metabolic alkalosis

pH가 정상이 아님, pCO2, HCO3-가 하나는 산성, 하나는 알칼리성

 

2. pCO2만 normal range면

무조건 Un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ro acidosis

 

3. HCO3-(or BE)가 normal range면 무조건 acute ventilatory

hyperventilation(pCO2감소)

hypoventilation(pCO2증가)

 

4. pH가 normal range

compensation이 완벽하게 된 대사상태 or chronic alveolar 문제 중 하나

 

* pH가 7.3~7.4 이하이고

pCO2, HCO3- 낮으면 complete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pCO2, HCO3- 높으면 chronic ventilatory failure

* pH가 7.4~7.5 이상이고

pCO2, HCO3- 높으면 completely 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pCO2, HCO3-가 낮으면 chronic alveolar hyperventilation

 

호흡성 산증

원인 : CO2과잉, 약물,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호흡억제, COPD, pneumonia, 흉벽질환

보상 : pH를 높이기 위해 폐->호흡량과 호흡수 증가, 과다환기, 신장->HCO3-보유

급성이면 PCO2가 10mmHg증가시마다 HCO3-가 1mEq/L씩 증가

만성이면 4mEq/L씩 증가

호흡성 알칼리증

원인 : CO2결핍, 과호흡(흥분, 통증, 고산지대, 인공호흡기 과다호흡)

보상 : pH 낮추기 위해 폐->자신이 내쉰 CO2를 마심(봉투씌우기), 신장->HCO3-배출

급성이면 PCO2가 10mmHg증가시마다 HCO3-가 2mEq/L씩 감소

만성이면 5mEq/L씩 감소

대사성 산증

원인 : 강산과잉, 당뇨, 쇼크, 신부전, 설사

보상 : pH올리기 위해 폐->CO2 내보냄, 신장->H+배출

PCO2 저하정도가 pH 마지막 두자리 수와 비슷

대사성 알칼리증

원인 : 강염기과잉, 가성소다중독, 장기간의 구토, 비위관 과액

보상 : pH낮추기 위해 폐->CO2보유, 신장->H+배출감소

PO2가 HCO3-증가의 0.6배

 

* 연습문제! (정답 보지 말고 천천히 두 번 풀어보기!)

(Shapiro et al : Clinical aplication of blood gases에서 발췌)

 

 1

 pH

 7.26

 7.52

7.60 

7.44 

7.38 

7.20 

7.56 

 pCO2

 56

 28

 55

 24

76 

 25

44 

 HCO3-

 24

 22

 51

 16

 42

 9

38

 BE

 -4

+1 

 +26

-6 

 +14

-17 

+14

 

 8

 9

 10

 11

 12

 13

 14

  pH

 7.36

7.60 

7.35 

 7.56

 7.55

7.20 

7.46 

  pCO2

 25

 25

 95

 40

 58

 78

 26

  HCO3-

 15

 24

 49

 34

 49

 30

 18

  BE

 -10

 +4

 +15

 +11

 +20

 0

 -4

 

 

 15

16 

17 

18 

19 

20 

21 

  pH

 7.36

 7.54

 7.24

 7.20

7.42 

7.24 

7.10 

  pCO2

 83

 29

 60

 38

 28

 28

 95

  HCO3-

 48

 24

 26

 15

 18

 12

 29

  BE

 +15

 +3

 -2

 -13

 -5

 -15

 -5

 

- 해답 - (Dr.보다 ABGA 해석 더 잘하면 어떡하죠? ^^)

1. acute ventilatory failure (acute respiratory acidosis)

2. acute alveolar hyperventilation

3.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4. chronic alveolar hyperventilation (chr. resp. alkalosis)

5. chronic ventilatory failure (chr. resp. acidosis)

6.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7. un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8. complete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9. acute alveolar hyperventilation

10. chronic ventilatory failure

11. un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12.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lkalosis

13. acute ventilatory failure

14. chronic alveolar hyperventilation

15. chronic ventilatory failure

16. acute alveolar hyperventilation

17. acute ventilatory failure

18. un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19. chronic alveolar hyperventilation

20. partly compensated metabolic acidosis

21. acute ventilatory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