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살;;; ㅋㅋㅋ 울 아들 뉴질랜드 가면 다시 유치원 가는고나 ㅋ
출처 :
polaroid English Road
뉴질랜드는 1877년 최초로 교육법을 제정,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한 무상 의무교육제도를 도입한 이래 일련의 수정법안을 거쳐 현재 전 국민 무상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교육이념은 국가사회 발전의 바탕이 되는 인격을 갖춘 인적자원의 양성에 있으며, 뉴질랜드 정보는 이를 위해 국민 개개인의 능력 및 자질에 관계없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각자의 수준에 가장 적합한 최대한의 교육 기회 제공을 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현재 뉴질랜드에는 약2000여 개의 초 중 고등학교와, 8개의 종합대학교 및 28개의 국립전문대학이 있습니다. |
|
한국과 뉴질랜드 학제 비교 |
|
Korea |
나이(만) |
New Zealand |
유치원 |
유치원 |
5 |
Y1 |
Primary School |
유치원 |
6 |
Y2 |
초등학교 |
초1 |
7 |
Y3 |
초2 |
8 |
Y4 |
초3 |
9 |
Y5 |
초4 |
10 |
Y6 |
초5 |
11 |
Y7(Form1) |
Intermediate School |
초6 |
12 |
Y8(Form2) |
중학교 |
중1 |
13 |
Y9(Form3) |
Secondary School |
중2 |
14 |
Y10(Form4) |
중3 |
15 |
Y11(Form5) |
고등학교 |
고1 |
16 |
Y12(Form6) |
고2 |
17 |
Y13(Form7) |
고3 |
18 |
|
| |
|
2010년 뉴질랜드 학기 |
|
|
Term 1 |
Term 2 |
Term 3 |
Term 4 |
수업기간 |
1월27일~4월9일 |
4월27일~7월3일 |
7월20일~9월25일 |
10월12일~12월18일 |
방학기간 |
4월10일~4월26일 |
7월4일~7월19일 |
9월26일~10월11일 |
12월19일~1월31일 | |
Kindergarten 유치원 |
|
유치원 선택 시 정식유치원인지 확인합니다. 뉴질랜드의 유치원은 공립과 사립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공립 유치원에는 자리부족 현상이 심한 편이므로 입학이 까다롭습니다. 처음 유치원에 들어가면 대게 오후반에 배치되며 일주일에 2~3일간 수업을 받습니다. 점차 유치원 생활이 익숙해지고 나이가 많아지면 등교 횟수가 늘어납니다. 뉴질랜드의 유치원은 초등학교를 입학하기 전 터득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며 유치원 교육을 받은 어린이가 입학 시 훨씬 더 학교생활을 잘 적응한다는 교사들의 평가에서도 이의 중요성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
|
Primary School 초등학교 |
|
대부분의 취학아동은 5번째 생일을 맞아 초등학교 Year1으로 입학하게 됩니다. 대다수의 어린이들은 입학 후 2년간을 Year 1(Junior 1)과 Year 2(Junior 2)로 구분되는 Infant Dep’t에서 보냅니다. 이 단계에서는 읽기 교육에 가장 중점을 두며 거의 매일 집에서 읽기 훈련을 계속 하도록 숙제를 내 줍니다. 어린이가 만 7세가 되면 Standard 과정으로 올라가 4년간 공부하게 됩니다. 이 단계의 학교생활은 Infant Dept보다 더 조직적이고 어린아이들은 스스로 독립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을 익혀나갑니다. 대개 Standard 단계에서 어린이들에게 자기만의 책상이 주어지며 어떤 주제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Project를 만들어 나가는 수업을 통해 독립심을 기르는 훈련을 하기도 합니다.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이민 온 어린이들에게 ESOL 과정을 추가로 부여하기도 합니다. 도시지역에서는 어린이들이 Standard 4 과정이 끝나면 곧바로 2년 과정의 Intermediate 과정에 입학하게 됩니다. 그러나 시골지역의 일부 학교에서는 Year 8까지 계속 다니다가 High School로 바로 진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녀를 사립학교로 진학시키기를 희망하는 학부모들은 Year7 입학 희망자가 정원을 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가지고 알아보지 않으면 기회를 놓치기 쉽습니다. |
|
Secondary School 중 고등학교 |
|
뉴질랜드의 중고등교육은 Year 9부터 시작되며 15세 까지는 의무교육입니다. Year 9 학생들은 핵심과목(Core Subject)인 영어, 수학, 과학, 사회와 통상 적어도 1개 이상의 외국어를 선택과목으로 공부하며 음악, 미술, 체육도 교과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공부할 과목의 선택폭은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매우 제한되어 있습니다. 11학년이 되면 뉴질랜드의 국가학력평가시험 제도인 NCEA를 준비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보통5~6과목을 공부하게 되는데, 영어나 수학과 같은 필수과목에서는 최소한의 점수를 취득해야만 합니다. 12학년이 되면 NCEA Level2인 6개의 과목을 공부하게 되는데, 정규과목 이외에도 선택과목을 포함시켜 학생의 적성과 향후 진로에 맞는 과목들을 공부하면서 선택의 폭을 넓혀가게 됩니다. 13학년이 되면 NCEA Level3에 해당하는 총 5개의 과목을 공부하게 되는데 필수과목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11~12학년 때 제2외국어 또는 과학분야를 공부한 학생들에 한하여 13학년 때 선택하여 공부할 수 있게 됩니다. |
|
Polytech, College 전문대학교 |
|
뉴질랜드에는 국민의 직업교육을 위해 설립된 28개의 국립 전문 대학이 있습니다. 이들은 정부기금으로 조성 되었고, 입문과정에서부터 학위 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의 교육과 직업훈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Polytech은 Secondary School에서 의무교육을 마치고 바로 직업전선에 뛰어드는 사람들을 위해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기술교육을 제공하는데, 과거에는 Technical high school이 비슷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교육의 깊이와 질 면에서 기술 전문 대학인 Polytech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습니다. Polytech은 비단 향후 취업을 위한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대학 못지않은 아카데믹한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
University 종합 대학교 |
|
뉴질랜드에는 Auckland, Hamilton, Palmerston North, Christchurch, Dunedin, Wellington 등의 주요도시에 총 8개의 종합대학교가 있습니다. 이 대학들은 정부지원으로 운영되는 국립대학교로서 학사학위와 석사, 박사학위, 연구과정 수료증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학교간의 차이는 심하지 않습니다. 각 대학은 특징적이고 전문분야에 대해서 자체의 개성과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학 희망자는 잘 분산되어 입학 경쟁률도 한국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의학부나 치 학부는 예외로서 항상 모든 대학에 지원자가 몰리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17세나 18세의 Year 13(Form 7)을 마치고 NCEA 점수결과를 가지고 대학교에 입학하게 되는데 뉴질랜드 대학에서는 한국처럼 각 대학이 독자적인 필기시험을 실시하지 않는 서류전형 중심의 입학제도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대학의 교육방식은 영국식 교육구조와 비슷합니다. 이는 폭 넓은 학문적 바탕이나 교양과목을 중시하기 보다는 보다 전문적인 분야를 공부 함으로서 차후 대학 졸업 시 바로 연관된 직업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데에 있습니다. 각 대학마다 커리큘럼이나 강의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이공 계열 및 의예과 등은 인문, 사회학과 분야보다 더 많은 강의와 실습 시간을 배정하고 있는 데에 반하여 인문, 사회학과에서는 보다 많은 참조문헌 탐구와 연구에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하게 하는 등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학사일정은 3월에 시작해서 3 학기 제(혹은 2 학기 제)로 3~5월, 5~6월, 9~10월(혹은 3~6월, 7~11월)로 나뉘어집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