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펌] 수혈 전 검사

Nurse Juno™ 2010. 10. 31. 04:50

출처 : 간호미래연구소



수혈 전 검사

  수혈 전 매번 아래의 검사를 시행 후 이상이 없을 때 수혈을 시행한다.
 

1. Anti body screening test (불규칙항체 선별검사)

2. ABO & Rh 혈액형검사

3. Crossmatching (교차적합시험)

 


1. Antibody screening test

: 수혈자의 혈청 내에 미지의 적혈구 비예기 항체의 존재를 검사하는 것이다.

 

◈ 비예기항체란?
    검사 전에는 알 수 없는, 본인이 가지고 있지 않은 항원에 대한 항체
    수혈 시 문제가 될 수 있다.

  ex)  검체 : 혈청 1ml , EDTA 혈액 1ml
       Positive이면 항체동정검사(antibody identification test)를 실시하여 항체에 대한 대응항원이
       없는 혈액을 찾아 공급한다.

 

2. ABO & Rh TYPE

 

◈ ABO 부적합 수혈시 예외없이 급성 수혈부작용이 나타난다.

◈ ABO & Rh type 부적합 -> 항원-항체반응에 의해 보체 활성화 -> 용혈
    Cross Matching이 생략되는 응급수혈시에도 반드시 시행한다.

◈ 검체 채혈량
    ABO & Rh 혈액형 검사용 : CBC bottle 2ml

◈ 수혈용검체는 매번 수혈시 마다 새로 채혈하는 것이 원칙이나 부득이한 경우 혈액은행에 검체유무를  
    전화로 확인한 다음 상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검체 유효기간은 3일)

 

3. CrossMatching (교차시험)

  : 수혈혈액이 환자에게 적합한지 알아보는 적합성 검사이다. (용혈성 수혈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 임)

◈ 혈액불출전 환자 혈청과 헌혈자 혈구(주교차시험), 헌혈자 혈청과 환자 혈구(부교차시험)를 반응시켜
    응집 또는 용혈 유무를 검사한다. 미리 아무런 검사가 이뤄지지 않은 경우 비예기 온난항체를 발견할
    수 있는 항글로불린검사가 포함되어야하며, 응급수혈을 제외하고는 모든 과정에 반드시 시행한다.

◈ 의의 : ABO 혈액형 오류의 검출과 비예기항체의 검출

◈ 검체: 환자 혈청 5ml
            검체에는 혈액은행 전용 label부착(환자등록번호,이름, 성별, 나이, 채혈일, 진료과명/병실,
            채혈자 서명 기록)을 부착한다.

◈ 환자혈액속에 존재하는 원인항체에 대한
    대응 항원이 있으면 : 부적합
    대응 항원이 없으면 : 적합

◈ 부적합을 보이면 환자 혈청에 대해 항체선별검사를 실시하고, 항체선별검사에서 항체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양성일 경우 항체동정검사를 실시한다.
    항체동정검사에서 는 항체의 특이성을 동정하는데 환자 동정 항체에 대한 해당항원이 없는
    혈액을 골라 출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