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가정법 if, as if, wish...
영어로 얘기할라치면 하루에도 몇 번은 쓰는 건데도 가끔 아리송;;;
요약정리
간단히 말해서
1. 가정법 현재는
주절에는 will, shall, may 등 조동사(혹은 would, should, might으로 변경가능 -> 과거 아닌 공손한 표현으로), 조건절에는 '동사 원형' 그대로 써주면 된다는 소리다
My parents will get mad if I don't come home by 9 o'cldck.
It shall be delightful if you show me some respect.
I may offer you a job if you be qualified.
2. 가정법 과거는
주절에는 would, could, should, might 처럼 조동사 과거형이, 조건절에는 '동사의 과거형'을 사용
단, be동사의 경우에는 조건절에 무조건 were사용
->해석은 언제나 현재형으로 해준다
I would not do it if I were you.
He could prepare a gift for you if he had enough momey.
It might be very dangerous if you pushed the button.
3. 가정법 과거완료
헷갈리는건 이눔부터다... 눈 크게 뜨고 봐라;;;
'만약 ~ 였다면, ~했을텐데'라는 의미로 과거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 과거의 일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 할 때 쓰인다.
주절에 Would + have + 과거완료, 조건절에 had+과거분사
My parents would have been happy if I had passed the test.
She should have accepted my proposal if I had been rich.
It could have done if the situation had not been so bad.
출처는 : MARIPOSA님 블로그
if 조건문- 가정법
[if 조건문- 가정법]
가정법은 if 접속사 뒤에 나타나는 동사의 시제에 따라 5가지로 분류
가정법 현재
I will help you [주절] / if I have a time [조건절]
...적다보니 좀 이상해서 봤더니 난 항상
If I have some time, I will help you라던지,
She will lend you some money, if she has
라며 반대로 말하더군... 뭐 그닥 달라질건 없는겐가ㅡ_ㅡ?
...It shall be delightful, if you show me some respect
주절에는 will, shall, may, can 등 [조동사의 현재형] + [동사원형] 또는 [be going to]를 쓴다.
조건절에는 동사의 [원형]을 사용
이 말이 가지는 nuance는 현재나 미래의 일에 대한 단순한 가정을, 그러나 불확실함에 대한 우려라고 볼 수 있다.
즉, 아직 확정되지 않은 일을 표현하는 것이다.
My parents will get mad if I don't come home by 9 o'cldck.
It shall be delightful if you show me some respect.
I may offer you a job if you be qualified.
9시까지 집에 돌아오지 않으면 부모님이 화를 낼 것이다.(9시까지 집에 못 갈 지도 모른다.)
네가 정중함을 보여준다면 기쁠것이다.(정중함을 보여주도록 해라.)
네가 자격이 있다면 나는 작장을 제공할 수도 있다.(자격이 있을 지 모르겠다.)
P.S) 위의 예문에서 사용된, 조동사 will. shall, may는 would, should, might로 바꾸어 쓸 수도 있다.
--> 조동사의 과거형이 아니라 공손한 표현으로...
가정법 과거
I would help you [주절] / if I had a time [조건절]
주절에는 would, should, might, could 처럼 [조동사의 과거형] + [동사의 원형]을 사용
조건절에는 동사의 [과거형]이 사용
직설적 가정법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if문의 형태이다.
"만약 ~라면 ~할 텐데"의 이미로 현재의 사실과 반대하여 현재 상황의 아쉬움을 표현
P.S)1. 조건절의 동사가 과거형이라 할 지라도 해석은 언제나 현재형으로 해준다.
즉, 위의 문장은 내게 시간이 았다면 너를 도와 줄텐데... (시간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
2. if가 이끄는 조건절에 과거형 동사가 사용되어진다고는 하지만, be동사의 경우 인칭과는 무관하게 항상 'were'을 사용
I would not do it if I were you.
He could prepare a gift for you if he had enough momey.
It might be very dangerous if you pushed the button.
내가 너라면 그것을 하지 않을 텐데.
그에게 충분한 돈이 있다면, 네 선물을 준비할 텐데.
네가 그 버튼을 누른다면, 매우 위험할 것이다.
가정법 과거완료
I would have helped you [주절] / if I had had a time [조건절]
주절에는 would, should, might, could 처럼 [조동사의 과거형] + [have + 과거분사 [현재완료형]]
조건절에는 동사의 [had + 과거분사 [과거완료형]]
만약 ~였었다면 ~ 했을 텐데의 의미로 과거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며
과거의 일에 대한 아쉬움음 표현할때 쓰인다.
My parents would have been happy if I had passed the test.
She should have accepted my proposal if I had been rich.
It could have done if the situation had not been so bad.
내가 시험에 통과했다면, 부모님이 행복해 하셨을 텐데.(통과 못했다.)
내가 부자였다면, 그녀는 나의 청혼을 받아들였을 텐데.(받아들이지 않았다.)
상황이 그렇게 나쁘지 않았더라면, 그 일을 해낼수 있었을 텐데.(못 해냈다.)
출처 : 문법북님 블로그 문법강의소
I wish + 가정법 과거/과거완료
I wish ~ 는 보통 ~을 바라다, ~을 희망하다의 의미로 쓰입니다.
I wish to have a puppy.
강아지 한마리를 갖고 싶다.
I wish you to do it.
그것을 해 주기를 바란다.
1. I wish + that절
I wish 다음에 that절이 오면 불가능한 소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that절의 문장은 항상 가정법 과거 또는 가정법 과거완료만 가능합니다.
that은 생략 가능하므로 아래와 같이 불가능한 소망을 표현합니다.
I wish (that) I were a bird!
새라면 좋을 텐데!
가정법 과거를 사용하여 현재사실과 반대의 상황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I wish I had never been born!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을.
가정법은 공식보다는 아쉬운 마음을 담고 있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 감자님 블로그 산과 여행
As if 가정법
주절 + as if + 가정법과거 : 주절과 같은 시제의 일(마치 인 것처럼)
주절 + as if + 가정법과거완료 : 주절보다 먼저 일어난 시제(마치 했던 것 처럼)
(직설법은 in fact(사실은)로 고친다.)
He talks as if he were a star. : 그는 마치 자기가 스타 인 것처럼 말한다. (스타도 아닌 주제에)
-> as if 가정법입니다. 즉 as if he were a star. 에 반대되는 사실이 존재합니다. 즉 He는 star가 절대 아니라는 현재 사실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사실의 반대로 가정을 하기 위해 멀쩡한 현재시제의 be동사 is를 were로 고친 것입니다.
(과거시제를 나타내기 위해서가 아니구요.)
*여기서 현재사실은 화자의 관점에서의 현재사실입니다. 꼭 기억하세요.
가정법에서 현재/과거 사실은 객관적 관점의 사실이 아닌 화자의 관점에서 사실입니다.
He talks as if he is a star. 그는 마치 자기가 스타 인 것처럼 말한다.
(스타인지 아닌지 잘 모르지만)
-> 이것은 직설법에 속합니다. 즉, as if he is/were a star. (그가 스타인지의 여부)가 정말 사실인지, 아니면 반대되는 사실이 존재하는지 (즉, 사실이 아닌지)를 화자의 관점에서 확실히 모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스타도 아닌 주제에) 라고 확신하고 가정법으로 as if he were a star. 라고 단정적으로 쓰지 못하고 as if he is a star. 라고 쓰는 것입니다. 누구 맘대로?
제니퍼가 아닌 화자의 맘대로, 화자의 판단에 따라 스타가 아닌것이 확실한데 스타처럼 군다면 as if he were a star.로 쓰고 스타인지 아닌지 잘 모르지만 스타처럼 군다면 as if he is a star. 라고 쓰는 것입니다.
그는 마치 모든 것을 아는 것 처럼 말한다.
He talks as if he knew everything. (In fact he doesn't know everything)
그는 마치 악마가 그를 유혹하는 것 처럼 느꼈다.
He felt as if a devil were tempting him. (In fact a devil was not tempting him)
그는 마치 선생님이었던 것 처럼 말한다.
He talks as if he had been a teacher. (In fact he was not a teacher.)
그녀는 마치 아팠던 것 처럼 보인다.
She looks as if she had been sick. (In fact she was not sick.)
그가 나에게 뭔가 숨기고 있는 것 같아.
It seems me as if he’s hiding something.
몸무게가 늘어난 것 같아.
It seems as if I’ve gained weight,
뭔가 잊어버린것 같아.
It seems as if we’ve lost.
그는 미국인처럼 말해
He speaks as if he is American.
그는 미국인처럼 말했어.
He speaks as if he were American.
그녀는 마치 그녀가 백만장자인 것처럼 보입니다.
She looks as if she is a millionaire.
그녀는 마치 그녀가 그들의 엄마인것처럼 보입니다.
She looks as if she is their mother.
그녀는 마치 그녀가 군인인 것처럼 걷습니다.
She walks as if she’s a soldier.
그는 마치 그녀가 그의 여자친구인 것처럼 그녀에게 말을 합니다.
He talks to her as if she is his girlfriend.
그는 마치 그가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He acts as if he knows everything.
그녀는 마치 그녀가 France에 갔다온 것처럼 말합니다.
She says as if she’s been to France.
그들은 언쟁을 하고 있는 것 같이 들립니다. (듣기에 그들은 언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It sounds as if they are arguing.
그 고기는 상한 것 같이 냄새가 납니다. (냄새 맡기에) 그 고기는 상한것 같습니다.
It smells as if the meat went bad.
무언가 그들에게 끔직한 일이 일어난 것처럼 보인다.
It seems as if something terrible happened to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