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심전도 12유도의 명칭
Limb lead(사지유도) : 신체를 전, 후로 나눔(전두면) ⇒Ⅰ, Ⅱ, Ⅲ, aVR, aVL, aVF
Precordial lead(흉부유도) : 위, 아래로 나눔(수평면) ⇒ V1, V2, V3, V4, V5, V6
Limb lead(사지유도) |
Precordial lead(흉부유도) |

|

|

|

|

|

|

|

|

|

|

|

|
표준사지유도(Standard limb leads, Bipolar limb leads)
두 전극 사이의 전압의 차를 절대치로 기록하는 양극 유도방법으로 유도의 I,II,III의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
Customary Monitoring Lead(lead II) |
Modified chest Lead(lead V1) |
단극사지유도(Unipolar limb leads)
삼각형의 두 정점을 삼각형의 중심과 잇고, 이 중심과 나머지 한 정점과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aVR은 탐색전극의 우측 팔목에, aVL는 좌측 팔목에, aVF는 좌측 발목에 놓여져 있습니다. 단극유도로 심전도를 기록하며, "a"는 "augmentation(증폭)"을 의미합니다.
● aVR : 심장의 중심부와 우측 팔목(RA)사이의 전위차의 측정.
● aVL : 심장의 중심부와 좌측 팔목(LA)사이의 전위차의 측정.
● aVF : 심장의 중심부와 좌측 발목(LF)사이의 전위차의 측정.
Electrode placement
Lead axes

흉부유도(Precordial leads, Chest leads)
6개의 흉부 유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가슴둘레의 서로 다른 6곳에 양극을 둡니다. 흉부 유도는 방실결절을 통해서 음극으로 되어있는 환자의 등쪽으로 투사됩니다.

|
<흉부유도의 위치>
V1 : 제 4늑간의 우측 흉골연(Sternal border)
V2 : 제 4늑간의 좌측 흉골연
V3 : V2와 V4의 중간부위
V4 : 제 5늑간과 좌측 쇄골 중앙선이 만나는 부위
V5 : V4와 수평되는 전액와 부위
V6 : V4와 수평되는 액와 중앙선 부위 |
심전도상 유도 V1에서 V6까지는 점진적인 변화를 보이게 됩니다.

|

|

|
유도 V1과 V2는 심장의 오른쪽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에 V5와 V6는 왼쪽 부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유도 V3와 V4는 심실중격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