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rsing

[펌] 인공 판막 치환술

그림 출처 : Adonis 님 블로그





출처 : http://100.naver.com/100.nhn?docid=728823

인공판막 치환술 [人工瓣膜, prosthetic valve]

심장의 판막이 어떤 원인으로 손상되어 판막의 기능이 유지될 수 없을 때 이 판막을 성형해서 다시 사용하거나(판막성형술) 인공판막으로 치환(판막치환술)해 주어야 한다. 인공판막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돼지나 소 등의 생체조직으로 만든 조직판막(tissue valve)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재질로 만든 기계판막(mechanical valve)이다. 이 두 판막은 서로 장단점이 있는데, 조직판막은 수명이 10년 정도로 짧은 단점이 있는 반면에 판막 주위에 혈액응고가 적어 항응고제 복용이 필요 없고, 손상이 서서히 일어난다.

한편 기계판막은 판막을 혈류가 돌면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현상이 있을 수 있고, 판막 주위에 혈전이 잘 발생하기 때문에 평생 동안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하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구성이 좋은, 즉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계판막은 60~65세 이하이면서 위궤양, 치질, 장출혈 등 항응고제 복용시 문제가 없는 환자에게 사용하며 임신을 원하는 가임 여성에서 판막치환을 할 때는 피하는 것이 좋다.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여성이 임신을 하면 항응고제 때문에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이 25% 정도 되므로 임신 초기와 분만시에는 반드시 항응고제인 쿠마딘(coumadin)을 태반을 통과하지 않는 정맥내 항응고제인 헤파린(heparin)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항응고제는 환자의 건강상태, 다른 약제의 복용 등에 따라 출혈기능이 항진되기도 하고 감소되기도 하므로 원칙적으로 매달 한 번씩 프로트롬빈 검사를 해야 하며, 이 결과에 따라 투여 약물의 용량을 조절한다. 또 위장관 출혈이 의심되거나, 대변색의 검은 변화, 월경량 증가, 잇몸출혈 등이 심해지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항응고제 효과가 적을 경우에는 인공판막에 혈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재수술까지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사망, 재수술, 재치환, 입원치료 등 매년 환자당 1% 정도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의 판막이 어떤 원인으로 손상되어 판막의 기능이 유지될 수 없을 때 이 판막을 성형해서 다시 사용하거나(판막성형술) 인공판막으로 치환(판막치환술)해 주어야 한다. 인공판막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돼지나 소 등의 생체조직으로 만든 조직판막(tissue valve)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재질로 만든 기계판막(mechanical valve)이다. 이 두 판막은 서로 장단점이 있는데, 조직판막은 수명이 10년 정도로 짧은 단점이 있는 반면에 판막 주위에 혈액응고가 적어 항응고제 복용이 필요 없고, 손상이 서서히 일어난다.

한편 기계판막은 판막을 혈류가 돌면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현상이 있을 수 있고, 판막 주위에 혈전이 잘 발생하기 때문에 평생 동안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하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구성이 좋은, 즉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계판막은 60~65세 이하이면서 위궤양, 치질, 장출혈 등 항응고제 복용시 문제가 없는 환자에게 사용하며 임신을 원하는 가임 여성에서 판막치환을 할 때는 피하는 것이 좋다.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여성이 임신을 하면 항응고제 때문에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이 25% 정도 되므로 임신 초기와 분만시에는 반드시 항응고제인 쿠마딘(coumadin)을 태반을 통과하지 않는 정맥내 항응고제인 헤파린(heparin)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항응고제는 환자의 건강상태, 다른 약제의 복용 등에 따라 출혈기능이 항진되기도 하고 감소되기도 하므로 원칙적으로 매달 한 번씩 프로트롬빈 검사를 해야 하며, 이 결과에 따라 투여 약물의 용량을 조절한다. 또 위장관 출혈이 의심되거나, 대변색의 검은 변화, 월경량 증가, 잇몸출혈 등이 심해지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항응고제 효과가 적을 경우에는 인공판막에 혈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재수술까지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사망, 재수술, 재치환, 입원치료 등 매년 환자당 1% 정도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http://blog.naver.com/rosaria8792?Redirect=Log&logNo=60112175458


인공판막의 종류

① 기계판막(mechanical valve)  ② 조직판막(tissue valve, bioprosthetic valve)

 

① 기계판막(mechanical valve)
 

- 적응증

1) 65-70세 이하, 장기적인 항응고제의 사용이 용이한 환자

2) 대동맥 판막륜이나 좌심실이 작아 작은 크기의 인공판막을 사용할 경우 혈역학적으로 기능이 좋은 이첨판막형 선택되어짐

3) 수명이 30년 정도 되므로 일반적으로 어린 환자들에게 적용됨

4) 나이가 많거나 술후 심장기능이 떨어지거나 심박출량 저하시 예후가 좋지 않음

    → 심박출량 저하로 인한 심부전, 심방세동등을 예방하기 위해 술후 3-6개월간 DGX투여하기도 함

 

- 장점

1) 내구성 (durability)이 좋음

2) 이첨판막형은 작은 크기에서 사용되기 용이하며, 수술시 삽입이 용이함

 

- 단점

1) 혈전색전증의 빈도가 높고 , 평생 항응고제를 사용해야 함 -> 출혈성 합병증의 위험이 높음

2) 판막 통과시 혈류가 거칠어져서 hemolysis(용혈)발생될 위험이 큼

3) 판막주위의 누출(perivalvular leak)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음

4) infective endocarditis 의 위험이 크다

 

- 종류

1) 새장속 공 모양 (caged ball) 기계판막

 - 인공판막중 최초의 형태

 - 측면의 높이가 높고(high profile), 작은 크기에서 판막의 전후 압력차(transvalvular gradient)가 크므로 요즘에는 잘 사용하지 않음

 

2) 경사디스크형(tilting disc) 기계판막

 - 판막 전후의 압력차를 줄이기 위한 형태

 - 혈류의 흐름이 비교적 생리적 상태에 가까움(비교적 중앙성으로 층상 흐름을 보임)

 

3) 이첨판막형(bileaflet) 기계판막

  - 완전한 중앙성 혈류를 유지하여 혈액학적 성상이 우수함

  - 작은 크기의 판막 전.후의 압력차가 작게 유지될 수 있음

 


② 조직판막(tissue valve, bioprosthetic valve)

 

- 적응증

1) 항응고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됨

  → GI bleeding, 뇌출혈 병력, 혈액응고장애

  → 수술후 계속 F/U하기 어려운 환자

  → 수술후 임신을 원하는 환자 (wafarin은 기형을 유발할 확률이 높으며 출혈성 경향을 높임)

 

- 장점

 1) 혈전 색전, 출혈, 판막주위의 누출등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단점

 1)  조직의 변성(degeneration)에 따른 판막의 내구성의 문제

 2) 소아의 경우 높은 칼슘의 대사로 인해 변성이 더 빠르게 옴

 3) 작은 크기에서 혈류에 대한 협착이 대체로 더 잘 생김

 

[출처] 인공판막2- 조직판막(tissue valve, bioprosthetic valve)|작성자 막내옥이


 

* 참고문헌

- 의대생을 위한 흉부외과학 / 고려의학

-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